퇴행성 질환인 골관절염을 앓는 환자들의 자살 충동 위험도가 정상인의 최대 두 배에 이른다는 연구결과가 ‘국제관절염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Rheumatic Diseases)’ 5월호에 소개됐다.
고려대병원 류마티스내과 송관규·최성재·정재현 교수팀은 2010~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50~99세 골관절염 진단 환자 8,271명(남자 3,580명, 여자 4,691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를 토대로 이 같은 분석을 내놨다.
연구팀의 조사결과, 남성 골관절염 환자의 경우 정상인과 비교해 스트레스, 우울감, 자살 충동 위험도가 각각 1.6배, 1.5배,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환자군은 같은 조건에서 스트레스, 우울감, 자살 충동이 1.4배, 1.3배, 1.5배 높았다. 골관절염을 앓고 있는 남성 환자의 정신건강 위험 정도가 여성보다 더 높았다.
한편 성별에 따른 골관절염 유병률은 여성이 19.1%로 남성(5.6%) 보다 3배 높다. 실제로 폐경 후 연골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여성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기 때문에 골관절염의 유병률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편이다.
연구팀은 골관절염이 정신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 골관절염에 대한 인식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즉, 나이 들면 으레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해 질환에 대한 예방이나 치료에 거리를 둠으로써 증세가 더 나빠지고 이것이 정신건강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연구팀은 남성이 여성보다 정신건강이 더 나빠지는 이유에 대해서는 향후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골관절염은 퇴행성 관절염이라고도 불리며 중년 또는 노년에 잘 발생한다. 관절 연골의 국소적인 퇴행성 변화, 연골 하골의 비대, 주변 골연골부의 과잉 골 형성, 관절의 변형을 특징으로 하며 염증 변화는 소수에서 나타난다. 임상적으로는 반복적인 동통, 관절 강직감, 점진적인 운동 장애가 초래된다.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정재현 고대구로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는 “노년층에서 주로 발병하는 대표적 퇴행성 질환인 골관절염이 여러 정신 질환과도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증명한 연구”라고 설명하며 “골관절염 발병 시 통증 완화 등 적극적인 치료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부분에 대한 가족과 사회의 관심과 배려도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출처: 건강이 궁금할 땐, 하이닥
(www.hidoc.co.kr)